RE100기업의 필수 과제로 부상했다.
반응형
최근 글로벌 기업들의 RE100(Renewable Energy 100%) 이행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RE100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국제 캠페인으로, 탄소중립과 ESG 경영의 핵심 지표로 자리 잡았다. 특히 반도체·제조업은 에너지 다소비 산업으로 분류되면서 재생에너지 전환 압박이 더욱 강해지고 있다.
2025년 들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화학 등 한국의 주요 기업들이 재생에너지 구매 협약을 확대하며 RE100 달성을 위한 움직임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RE100 이행 현황, 반도체·제조 기업의 재생에너지 확보 전략, 향후 전망을 키워드 중심으로 분석했다.
1. RE100 압박이 강화되는 이유
(1) 글로벌 규제 강화
-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가 본격 시행되면서 재생에너지 사용 비율이 낮은 기업은 추가 탄소비용 부담이 커졌다.
-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도 재생에너지 투자 기업에 세제 혜택을 제공하며 압박을 가하고 있다.
(2) 투자자·소비자 요구 증가
- ESG 평가에서 재생에너지 비중이 중요한 지표로 작용해 기업 이미지와 자금 조달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애플, 구글, 테슬라 등 글로벌 기업들이 협력사에 RE100 이행을 요구하며 공급망 전체에 영향을 주고 있다.
(3) 국내 정책 지원 확대
- 정부가 2030년 재생에너지 비중 30% 목표를 설정하고, 태양광·풍력 프로젝트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했다.
- 한국판 그린딜 정책을 통해 대기업의 재생에너지 전환을 촉진하고 있다.
2. RE100기업의 재생에너지 확보 전략
(1) 장기 PPA(전력구매계약) 체결
- 삼성전자는 국내외 풍력·태양광 발전사와 10년 이상의 장기 PPA를 체결하며 안정적인 재생에너지 공급을 확보했다.
- SK하이닉스도 미국 텍사스주에서 대규모 태양광 PPA를 체결해 해외 사업장의 RE100 이행 속도를 높이고 있다.
(2) 자체 재생에너지 발전소 투자
- LG화학은 한국·미국·유럽에 ESS(에너지저장시스템)와 연계한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 중이다.
- POSCO는 수소 연료전지와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결합해 자체 청정에너지 생산 체계를 구축했다.
(3) REC(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 구매 확대
- 재생에너지 직접 생산이 어려운 기업들은 REC 구매를 통해 RE100 목표를 달성하고 있다.
- 현대자동차는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사로부터 대량의 REC를 구매하며 공급망 전체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있다.
(4) 그린 Hydrogen·CCUS 기술 도입
-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그린 수소를 공정에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 한화솔루션은 태양광 발전과 수소 생산을 연계한 통합 에너지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3. RE100 달성의 어려움과 해결 과제
(1) 재생에너지 공급 부족
- 국내 재생에너지 생산량이 기업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해외 PPA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 송전 인프라 부족으로 대규모 태양광·풍력 프로젝트가 지연되는 경우도 발생했다.
(2) 비용 부담 증가
- 재생에너지 전환에는 막대한 투자가 필요해 중소기업의 참여가 어려운 상황이다.
- 정부 보조금과 탄소 크레딧 제도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3) 기술적 한계
- 반도체 공정처럼 24시간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필요한 산업은 재생에너지 단독 사용에 한계가 있다.
- ESS(에너지저장시스템)와 스마트 그리드 기술 발전이 필수적이다.
4. 향후 전망: RE100은 선택이 아닌 필수
- 2030년이 되면 대부분의 글로벌 기업이 RE100을 의무화할 전망이다.
- 재생에너지 시장은 태양광·풍력뿐만 아니라 수소·조력발전 등으로 다양화될 것이다.
- 탄소 중립 기술과 ESG 경영이 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시대가 될 것이다.
마치며: 재생에너지 전환, 지금이 최적의 시기다
RE100 이행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다. 반도체·제조 기업들은 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해 PPA 체결, 자체 발전소 투자, REC 구매 등 다양한 전략을 펼치고 있다. 정부와 기업이 협력해 에너지 인프라 확충과 기술 개발에 나선다면, RE100 달성은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I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로 데이터센터 전력 40% 절감한다. 친환경 기술 혁명 시작됐다 (7) | 2025.05.05 |
---|---|
구글 I/O 2025 '프로젝트 브레인링크 공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미래가 열리다 (3) | 2025.05.05 |
AI 에이전트 : 자동화 업무 플랫폼 (MS Copilot Studio, AWS Q 확장) (4) | 2025.05.01 |
6G 연구 가속화 : 삼성·퀄컴, 테라헤르츠 주파수 실험 성공으로 초연결 시대 준비 (3) | 2025.05.01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AWS Outposts, MS Azure Arc 활용한 온프레미스-클라우드 통합 사례 증가 (2)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