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0월 중국 과학기술대학(USTC) 연구팀은 안휘성 허페이시에서 세계 최초 양자암호통신(QKD) 상용화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테스트는 중국이 2016년 세계 최초로 발사한 양자통신위성 '묵자호'와 지상 네트워크를 연계해 수행되었으며, 4,600km에 달하는 양자키분배(QKD)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 중국 정부는 이 기술을 금융, 국방, 에너지 등 주요 인프라에 단계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며, 2030년까지 총 800억 위안(약 144조 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중국의 양자통신 기술 개발 현황
(1) 기술 개발 로드맵
- 2016년 : 세계 최초 양자과학실험위성 '묵자호' 발사
- 2017년 : 베이징-상하이 간 2,000km 양자통신 네트워크 구축
- 2021년 : 지상-위성 간 양자키분배 속도 세계 기록 수립(초당 1.2Mb)
- 2023년 : 상용화 테스트 성공으로 실용화 단계 진입
(2) 주요 기술 혁신
- 양자중계기술 : 기존 100km 한계를 600km까지 확장
- 소형화 양자암호기기 : 냉각장치 없이 상온 작동 가능한 시스템 개발
- 양자랜덤넘버생성기 : 초당 10Gb 속도의 진성난수 생성 가능
상용화 테스트의 기술적 성과
(1) 네트워크 구성
- 위성-지상 통합 시스템 : 3개 위성과 32개 지상 기지국 연동
- 하이브리드 암호화 : 양자키와 AES-256 결합 방식 채택
- 다중노드 라우팅 : 8개 중계노드를 거쳐 신호 전송
(2) 성능 지표
- 키생성속도 : 평균 4.3Kbps(도심지역), 최대 12.7Kbps(교외지역)
- 전송오류율 : 0.54%로 기존 대비 82% 개선
- 보안성 : 물리법칙 기반 해킹 불가능성 입증
산업 적용 현황 및 계획
(1) 금융 분야
- 중국공상은행 : 2024년 상하이 지점간 거래에 양자암호 적용
- 앤트그룹 : 모바일 결제용 양자키 분배 시스템 개발 중
(2) 국가 주요 인프라
- 전력망 : 5개 성(省)의 스마트그리드 보안 시스템 구축
- 철도관제 : 베이징-광저우 고속철도 통신망 적용 예정
(3) 군사 분야
- 군용통신망 : 2025년까지 주요 지휘체계 전환 계획
- 잠수함통신 : 양자암호화 음성통신 시스템 실험 진행 중
글로벌 경쟁 현황
(1) 미국
- NSA : 2022년 양자암호 표준화 계획(NQPP) 발표
- DARPA : 3.2억 달러 투자로 위성간 양자통신 연구 가속화
(2) 유럽
- EU Quantum Flagship : 27개국 참여, 10억 유로 규모 프로젝트 진행
- 스위스 IDQ : 2023년 유럽 8개국에 양자암호 네트워크 구축
(3) 한국
- ETRI : 2022년 50km 구간 양자키분배 실증 완료
- SK텔레콤 : 2024년 상용화 목표로 테스트넷 구축 중
기술적 과제와 전망
(1) 해결 과제
- 거리 한계 : 광섬유 기준 100km 이상 신호 감쇠 문제
- 비용 문제 : 현재 설치비용 km당 3만 달러로 고가
- 표준화 경쟁 : 중국 주도 vs 미국/유럽 연합 구도 형성
(2) 미래 전망
- 2025년 : 주요 국가 간 양자암호 연결 테스트 예상
- 2030년 : 글로벌 양자인터넷 프로토타입 등장 전망
- 2035년 : 기존 공개키 암호체계 대체 가능성 검토
결론
중국의 양자통신 상용화 테스트 성공은 정보보안 패러다임의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특히 미국과의 기술 패권 경쟁에서 중국이 우위를 점할 수 있는 핵심 카드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도 2022년 발표한 '양자과학 기술 발전 전략'에 따라 연구개발을 가속화해야 할 시점이다. 양자암호 기술이 본격 확산될 경우 금융, 국방, 의료 등 모든 분야에서 보안 체계의 혁신적 변화가 예상되며, 이에 대비한 국가 차원의 전략적 투자가 요구된다.
'I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롬프트(Prompt)란? 프롬프트를 잘 사용하는 법 (3) | 2025.04.30 |
---|---|
공급망 공격 :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취약점 집중 관리 (Log4j 2.0 패치 권고) (3) | 2025.04.30 |
서버리스 컴퓨팅 : 개발자 생산성 향상을 위한 FaaS(Function as a Service) 도입 확대 (3) | 2025.04.30 |
SKT 모바일 해킹 위험. 모바일 보안 : iOS/Android 생체인증 강화 표준화 논의 본격화 (7) | 2025.04.29 |
AI 의료진단 시장 30% 성장…의사-기술 협력 모델 확산 (4) | 2025.04.29 |